 |
|
|
|
 |
|
|
|
|
|
|
|
|
목표분야는 물의 recycle이다. Scale 발생인자들의 제어는
복잡한 mechanism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 중 동역학적 해석을
통해 scale 발생을 미리 예측하여 사전 예방을 실시할 수 있는
program을 구축하고 이 program에 기반한 scale 발생
억제력을 구현하여 현장에서 scale에 의한 trouble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한다. |
|
|
|
|
|
|
|
|
 |
|
|
|
|
|
|
|
Ferric sulfate의
적용은 waste treatment (air, water, sludge)에
매우 국한 되어 있다.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서 첫째,
high acid & base waste water treatment에
적용 가능한 poly ferric sulfate 개발. 둘째,
waste water & sludge treatment
particle size 제어기술의 개발. 셋째, copper
& phosphate와 같은 특정 중금속 및 음이온 유해물질에
대해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poly ferric sulfate
개발을 목표로 한다.
|
|
|
|
|
|
|
|
|
 |
|
|
|
|
|
|
|
정확한 약품 사용관리와 문제해결을
위한 기기분석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계산, 분석 및 판단하여
즉각적으로 전송하고 이를 토대로 main control room에서
원격 자동제어 한다. |
|
|
|
|
|
|
|
|
 |
|
|
|
|
|
|
|
n-hexane removal
agent는 유수분리기에서 제거되고 남은, 용해된 n-hexane에
대해 선택적으로 coagulation 시키고 이것을 다시 flocculation
시키는 2step mechanism을 구현한다. |
|
|
|
|
|
|
|
|
 |
|
|
|
|
|
|
|
폐기물 처리에 있어 보편적인
방법인 소각, 용융, 탄화 등의 처리에서 발생하는 bottom
ash는 대부분 무기물로서 alkali 물질이다. 이것의 재활용(노반
골재, 시멘트, 비료, 벽돌 등)을 위해 bottom ash을
안정화 시키고 자원의 재활용을 목표로 한다.
|
|
|
|
|
|
|
|